JSP에서 인클루딩 방식 2가지와 함께 인클루드 파일을 수정하였을때 적용되지 않는 부분이 소개되어 있어 예전에 이것을 몰라 헤매던게 생각나 포스트합니다...^^;;;
인클루딩 파일을 수정하였을때 적용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은 글 본문 중 붉은 색으로 처리해놓았습니다.
--------------------------------------------------------------------
[원문] http://aboutjsp.com/lec/include.jsp
저자 : 이선재(hsboy)
JSP 에서는 두가지 방법으로 다른 문서를 현재의 문서에 포함 시킬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이러한 두가지 include 문에 대해서 알아 봅니다.
* include 란? 다른 웹 언어(PHP or ASP등)를 프로그래밍 해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include 가 무었인지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doc2.jsp 의 내용이 아래와 같을때
위의 두개 문서의 출력을 한번에 보고자 할 때 include를 사용합니다.
위의 doc3.jsp 를 출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doc3.jsp 실행화면
위의 소스에서 눈여겨 볼 부분이 doc2.jsp 의 상단 부분인데, doc2.jsp에는 page Directive가 생략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두가지 include 방식의 차이 때문인데,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SSI(Server Side Include)를 이용해서 구현할수도 있는데 이것은 apache웹서버에서 지원하는 내용 이므로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여기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위와 같이 두가지 사용 용법이 있으며, 두번째 방법을 사용하면 해당 jsp파일에 파라메터값도 넘겨 줄수가 있습니다.
include 지시어 와 Action 구문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include 지시어는 컴파일 되기전에 파일이 내용이 합쳐진다는 것입니다. 즉, doc3.jsp 는 doc2.jsp의 내용을 자신의 문서내에 포함하여 하나의 파일로 인식한다는 것입니다. doc2.jsp 에 보면 page Directive 가 생략이 되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doc2.jsp에도 page Directive를 설정해 주었다면 에러가 발생할 것입니다. 하나의 페이지에 두번 선언을 하는 꼴이 되어 버릴테니까 말이죠.
JSP프로그래밍을 조금이라도 접해 보신 분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대로 JSP는 먼저 servlet 으로 변환되고, 그 다음 servlet 이 컴파일 되어 그결과를 화면에 출력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include 지시어 문을 사용하게 되면 하나의 servlet 파일이 생성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엄청난 차이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JSP의 특성상 JSP파일이 조금이라도 수정이 되어 있으면 servlet 으로 재 변경되어 다시 컴파일이 이루어 지게 됩니다. 그런데, doc2.jsp 파일을 내용을 수정하고, doc3.jsp 파일을 부르게 되면 수정되기 전의 doc2.jsp 파일의 내용이 출력됩니다. 또다시 doc3.jsp 파일을 살짝 고치고 doc3.jsp 을 부르게 되면 이제서야 수정된 doc2.jsp파일의 내용이 화면에 출력 되게 될 것입니다. 눈치 빠르신 분들은 알아 차리셨으리라 생각됩니다만.. 따라서, include 지시어 문을 사용하셨을 경우에는 두개의 파일 모두 수정해 주어야(doc3.jsp는 공백하나가 추가 되더라도 수정되어야 합니다) 원하는 결과를 얻을수가 있게 됩니다. |